본문 바로가기
Network

Packet Analysis - 3. IP Header

by 看書痴 2022. 3. 16.
반응형

오늘은 IP Header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Wireshark를 통해서 이론적인 부분과 실제 Packet을 비교하는 버릇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1. IP Header

 1.1. IP Header 구조

IP Header

  1.1.1. Version : 0x04 IPv4를 의미합니다.

  1.1.2. Header Length : IP Header의 길이를 32bit 즉 4byte 단위로 나타냄. 대부분 20Byte

   1.1.2.1. 필드값이 거의 5 ( 5 X 32bit(4Byte) = 20Byte )

  1.1.3. Type of Service Flags : 서비스의 우선 순위 제공

Type of Service Flags

  1.1.4. Total Packet Length : 전체 IP Packet의 길이를 Byte 단위로 표시

  1.1.5. Fragment Identifier : 분할이 발생한 경우 조각을 다시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위해 사용

  1.1.6. Fragmentation Flags : 처음 1bit는 항상 0

   1.1.6.1. May Fragment : 라우터에 불할여부 0 - 가능, 1 - 분할방지, 

   1.1.6.2. More Fragments : 0 - 마지막 조각, 1 - 조각이 더 있음

  1.1.7. Fragmentation Offset : 8Byte Offset으로 조각에 저장된 원래의 데이터 범위를 나타냄.

Data 분할

  1.1.8. Time To Live : 

   1.1.8.1. Data가 이동할 수 있는 Router의 갯수

   1.1.8.2. 1~255값 지정 후 1씩 감소시킴.

  1.1.9. Protocol Identifire 

   1.1.9.1. 상위 계층 프로토콜

   1.1.9.2. 1 - ICMP, 2 - IGMP, 6 - TCP, 17 - UDP

  1.1.10. Header Checksum

   1.1.10.1. IP Header의 Checksum 저장

   1.1.10.2. Router 통과 시 마다 재계산

   1.1.10.3. 속도 저하

  1.1.11. Source IP Address : 출발지 IP Address

  1.1.12. Destination IP Address : 목적지 IP Address

  1.1.13. Options : 특별한 처리 옵션을 추가로 정의 할 수 있음.

  

이렇게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Protocol인 IP Header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내일은 아마도 TCP/UDP가 될 듯 합니다.

 

Have a nice da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