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irtual network3 6. Exam 2 - VPN Gateway, Network Peering Nework Service 두번째 실습입니다. 5. VPN Gateway 6. Network Peering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5. VPN Gateway 5.1. Portal 상단 검색창에서 "NAT 게이트웨이" 검색 후 선택 5.2. NAT Gateway 만들기 기본사항 5.2.1. 구독 선택 후 Resource Group를 새로 생성하거나 기존 Resource Group 선택 5.2.2. NAT 게이트웨이 이름 : mynatgw 5.2.3. 지역 : 한국 중부 5.2.4. 유휴 시간 제한 : 4분 5.3. 아웃바운드 IP 5.3.1. NAT Gateway가 외부 통신을 위해 사용할 Public IP 생성 5.3.2. Public IP : mynatgwpip 5.3.3. SKU : Standard .. 2022. 2. 2. 6. Exam 1 - VPC Create, Bastion Deploy 자! 그럼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실습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VPC 생성, 그리고 Bastion 배포하기 입니다. 1. VPC Create + Subnet Create 2. Bastion Deploy 3. 가상 머신 만들기 4. Bastion을 이용한 원격 접속 순으로 진행합니다. 1. VPC Create + Subnet Create 1.1. Azure Portal Login -> 상단 검색 창에서 "가상 네트워크"을 검색 후 선택 1.2. Virtual Network 생성 1.2.1. 리소스 그룹 : mytestrg 1.2.2. Virtual Network : myvnet 1.3. Virtual Network CIDR Block과 Subnet 생성 1.3.1. Virtual Netw.. 2022. 2. 2. 5. Virtual Network -1 : Virtual Network, Subnet 통상적으로 개요 후에는 VM(Virtual Machine)을 많이들 설명하지만 저는 VM의 기반이 되는 Virtual Network를 먼저 설명하는 걸 즐겨합니다. 각자의 특징이 있는 것이니 인정해 주셔요! 1. Azure Virtual Network의 특징 1.1. Azure Virtual Network 종류 1.2. 가상화된 네트워크 1.3. Azure Private Network의 기본 구성 요소 1.4. Azure 리소스에 Network 기능 제공, Internet 및 On-Premise와의 통신 지원 1.5. 확장성, 가용성 및 격리와 같은 Azure Intra의 이점을 추가로 활용 가능 1.6. Virtual Network의 주요 기능 1.6.1. 인터넷 통신 1.6.1.1. 기본적으로 Vir.. 2022. 1.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