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ntainer/Docker7 Docker - Data Management 음. 또 몇일 건너뛰고 Docker로 돌아오네요! 세상은 넓고 공부할 것은 많다! 그럼 Docker에서 Data관리를 위해 제공하는 방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Container 에서 사용하는 Data를 Host내에 저장하는 세가지 방법 1.1. Volumes 1.1.1. Host파일 시스템 내의 지정된 영역( /var/lib/docker/volumes)을 Docker가 관리 및 사용 1.1.2. Docker가 아닌 다른 Process는 해당 영역 접근 불가능 1.2. Bind Mounts 1.2.1. Host 파일 시스템 자체를 사용 1.2.2. 중요한 시스템 파이리나 디렉토리 접근 가능 1.2.3. Host와 Container가 설정 파일 공유 1.2.4. Host 에서 개발 후 Container로.. 2022. 3. 8. Docker 개요 - 3 아직도 Docker 개요 부분에서 설명할 것들이 많이 남아있네요! Docker Component와 묶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Dockerfile의 자세한 사용법은 뒤에서 다룰 예정이니 개념만 알고 넘어가세요. 1. Dockerfile 1.1. Image 만들기 1.1.1. Image를 만들기 위한 DSL(Domain Specific Language) 언어 사용 1.1.2. 서버등에 App설치 시 의존성 패키지등을 메모장에 작성하지 말고 Dockerfile로 관리 1.1.3. Dockerfile의 Image생성 과정을 살펴보고 수정 작업등을 통해서 Source와 함께 버전관리가능 2. Docker HUB 2.1. 수백 Mbyte의 Docker Image를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은 쉽지 않음. 2.. 2022. 3. 2. Docker Image Docker가 점점 흥미진진해 지네요! 저만.....? 오늘은 Docker의 핵심인 Imag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Docker Image 1.1. Container 실행에 필요한 파일 및 설정값을 포함하고 있는 것. 1.1.1ㅣ Immutable(불변) 1.1.2. 하나의 Image로 여러개의 Container 실행 1.1.3. Container 상태 변경 및 삭제 시에도 Image는 변하지 않고 존재함. 1.2. Container 실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 보유 : 1.2.1. 설치 및 Compile 불필요 ex1) ubuntu image : ubuntu 실행을 위한 모든 파일 ex2) mysql image : mysql 실행 파일 및 명령어, port 정보 등 1.3. Docker H.. 2022. 3. 1. Docker(Container) 기술 : namespace & cgroups Container 기술의 등장으로 찬밥(?)이 되어버린 Virtualization 기술! 그래도 Cloud의 핵심 기술인데! ㅎㅎㅎ 그럼 대체 어떤 면에서 뛰어나길래 이렇게 Docker는 사실상 업계 표준(de-facto)이 되면서 Virtualization기술을 대체하게 되었을까요? 어느 날 바로 하늘에서 뚝 떨어진 기술은 아닐텐데......! 1. Docker 1.1. LXC에서 사용하는 Linux Kernel Container 기술을 이용해 만든 Container Management Util 1.2. MSA, DevOps, Test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1.3. Linux Container 구현체의 de-facto 2. Container vs Hypervisor 2.1. Hypervisor와 .. 2022. 2.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