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

GIT reset, revert를 활용한 과거로의 시간 여행 reset, revert 를 이용한 버전 삭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et의 경우에는 commit id 이후의 버전을 삭제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revert의 경우에는 해당 버전으로의 이동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eset을 reset 이후의 버전들을 모두 지워버리지만 (과거 기억) revert의 경우에는 해당 시점 이후의 버전들을 모두 간직하고 있습니다. (좀 지저분하지요! 맺고 끊음이 없어요!ㅎㅎ) 완전히 새삶을 살기 위해서는 revert, 현재의 아름다운 추억을 과거의 시점에서 남기고 싶다면 reset을 이용하세요. 1. git reset - 선택한 버전의 상위 버전이 삭제 됩니다. 1.1. 상위 버전 확인 1.1.1. # git log 1.1.2. COMMIT ID 2번 확인 1.2. .. 2022. 4. 16.
GIT Checkout (시간 여행 : Time Machine) 자! 오늘은 드디어 시간 여행의 시간입니다. GIT을 이용해서 특정 시점으로 파일 버전을 되돌리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시간 여행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벨트 꽉 메시길..... 1. 기존 파일 변경사항 추적 1.1. 변경 사항 추적 1.1.1. # git log 1.1.2. msg2의 commit id 확인 1.2. 과거로의 여행 1.2.1. # git checkout COMMIT ID 2번 1.2.2. # ls -al 1.2.3. # cat test1.txt 1.3. 이전 과거로의 여행 1.3.1. # git log 1.3.2. msg1의 COMMIT ID 1번 확인 1.3.3. # git checkout COMMIT ID 1번 1.3.4. 파일 확인 1.3.5. # ls -al 2. 최근 시점으로 되돌.. 2022. 4. 15.
GIT 버전간 차이점 오늘은 조금 간단하게 git 버전간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내용은 간단하지만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니 반복해서 학습하셔야 합니다. 1. 기존 파일 내용 변경 확인 1.1. 기존 파일 내용 변경 1.1.1. # vi test1.txt 1.1.2. 3번째 줄 test3을 babo3으로 변경 및 저장 1.1.3. a -> test3삭제 후 babo3 입력 후 esc -> :wq 1.1.4. # git status 1.1.5. # git diff 1.2. 기존 파일의 변경사항 확인할 수 있음. 1.3. 파일명 및 구체적인 Line, 제거 및 추가 사항 확인 가능 2. 파일 이전 상태 복원 2.1. 파일 이전 상태 복원 2.1.1. # git reset --hard 2.1.2. # cat test1.txt 3.. 2022. 4. 14.
GIT 다중파일 버전관리 자! 오늘은 GIT에서 여러 파일을 버전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1. 기존 파일에 내용추가 1.1. 기존 파일에 내용 추가하기 1.1.1. # vi test1.txt 1.1.2. o -> 문서의 가장 끝 라인에서 입력모드 전환 1.1.3. test3 1.1.4. esc -> :wq 명령모드 전환 후 저장, 나가기 2. 신규 파일 생성 2.1. 신규 파일 생성하기 2.1.1. # vi test2.txt 2.1.2. a 2.1.3. test3 2.1.4. esc -> :wq 명령모드 전환 후 저장, 나가기 2.1.5. ls test2.txt 파일 확인 2.1.6. git status 2.1.7. 기존 test1.txt 파일은 이미 버전관리가 되고 있기때문에 내용 변경 사항 추.. 2022. 4. 13.
GIT 버전 관리 음! 버전관리, 형상관리의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GIT 이제부터 GIT으로의 여행을 떠나볼까! 합니다. 1. GIT의 영역 크게 3개의 영역으로 구별 1.1. Working Tree 1.1.1. 버전으로 만들어지기 전의 파일 생성, 수정, 삭제 작업 1.1.2. Track 되지 않음 1.2. Staging Area 1.2.1. Working Tree 파일 중 버전관리 할 파일만 보관 1.3. Repository 1.3.1. 파일 버전관리 영역 2. 환경 설정 2.1.작업 디렉토리 생성하기 2.1.1. c:\Users\user\document\git 2.1.2. c:\Users\user\document\git\test-gitcli 2.2. Repository 초기화 2.2.1. # git init.. 2022. 4. 12.
WindowsServer2019 : 2. DNS Configuration - 역방향 조회영역 정방향 조회 영역이 URL을 IP Address로 변환을 해준다면 역방향 조회 영역은 IP Address를 Hostname으로 변환을 해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통상적으로는 보안을 위해서 - 해당 IP Address를 보유한 Host의 역할 - 주로 설정을 하게됩니다. 몇일 후 몸이 좀 완전히 나아지면 부족한 설명부분들은 모두 채워넣도록 하겠습니다. 이게 꼬리가 조금 긴 늠이네요! 다들 무탈하시길...... Have a nice day! 2022. 3. 31.
Windows Server 2019 : 2. DNS Configuration -정방향 조회영역 음! 몸 상태가 그닥 양호하지 못해서 설명없이 그림만 포스팅 하는 중입니다. 쪼매는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조금 상태가 좋아지면 내용 모두 채워 넣겠습니다. 1. 목표시스템 2. DNS 이로써 정방향 조회 영역을 완료했습니다. 그럼 내일은 역방향 조회 영역 포스팅 합니다. Have a nice day! 2022. 3. 30.
FTP Configuration : 사용자 격리 ( chroot ) Windows Server 2019를 이용한 FTP 사용자 격기 구성입니다. 바로 뒤를 이어서 FTP 가상 호스트 구성을 포스팅 합니다. 오늘은 그림만 올리고 내용은 내일 포스팅합니다. 오오미이크으 Have a Nice day! 2022. 3. 29.
CentOS7 : /etc/login.defs 분석 이전 포스팅에서 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빨간 색 박스 부분에 대한 설명 및 예제 입니다. 참고하세요! 2022.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