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8 Data 전송 방식 그냥 가볍게 보고 넘어가세요! 모르셔도 크게 상관없습니다. 단지 이론 시험에 조금씩 출제되는 부분입니다. Network에서 Data를 전송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Data 전송 방식 1.1. 단방향 통신(Simplex) 1.1.1. 오로지 A->B로의 통신만 가능 1.2. 반이중통신(Half Duplex) 1.2.1. 양방향 통신 가능 1.2.2. 단, 동시 사용은 불가 : 무전기 1.3. 전이중퉁신 : Full Duplex 1.3.1. 양방향 통신 가능 1.3.2. 동시 사용 가능 : 전화 2. Network Topology 2.1. 계층형(Tree) 2.1.1. 장점 2.1.1.1. 네트워크 관리 용이 2.1.1.2. 새로운 장치 추가 쉬움 2.1.2. 단점 2.1.2.1. 상.. 2022. 3. 7. 전송 매체 그럼 전송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송 매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게 3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헌데 사실 요즘은 거의 쓰지 않는 것도 있어서... 1. 동축케이블 2. Twist Pair 3. Fiber 순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참고로 무선은 일단 제외하겠습니다. 사실 이게 제일 중요한데.... 1. 전송 매체 1.1. 정의 1.1.1.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Data를 bit라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 1.1.2. 변환된 신호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경로 1.2. 대역폭(Bandwidth) 1.2.1. 네트워크가 단위 시간 냉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전달 용량 1.2.2. 대역폭이 높을 수록 많은 데이터 전달 가능 (흔히 차선에 비유함) 1.2.3. 대역폭 자체는 전달 속도와는 관계가 .. 2022. 3. 6. IP Address와 Subnet - 3. Subnetting 자!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1. IP Address 를 만드는 규칙 1.1. 이진수 32개를 이용한다. 1.2. 1개의 Octet은 8개의 2진수로 구분 - 4개의 Octet - 1.3. 각 Octet별로 갖을 수 있는 최소 10진수는 0, 최대 10진수는 255 이다. 1.4. 0~255 까지의 10진수를 사용함으로 하나의 Octet이 포함할 수 있는 수는 256개. 2. Subnet Mask를 만드는 규칙 2.1. IP Address 만드는 규칙과 동일하다. 2.2. 단 2진수 1로 시작하고 중간에 0이 나오면 끝까지 0이어야 한다. 0 다음에는 절대로 1일 올 수 없다. 2.3. PREFIX 2.3.1. Subnet Mask의 또 다른 표현 방식 2.3.2. 2진수 1의 갯수로 Subnet Mas.. 2022. 3. 5. IP Address와 Subnet - 2. MAC Address vs IP Address 음 그럼 두번째로 주소를 의미하는 두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MAC Address : Media Access Controller Address IP Address : Internet Protocol Address 1. 공통점 1.1. 두 주소 모두 Network상에서 고유한 식별번호를 의미합니다. 2. 차이점 2.1. MAC Address는 물리적(Hardware)으로 할당된 즉 NIC에 고유의 식별자입니다.(불변 : 해킹시 제외) 2.2. IP Address는 ISP 업체등에서 임시적으로 할당한 즉 논리적인 식별자 입니다. (가변 : 변동 가능) 3. MAC Address 구조 3.1. 16진수 12자리로 구성됨. IEEE관리 3.2. 16진수는 4bit로 구성됨으로 총 48bit의 주소 체계임 3.3... 2022. 3. 4. IP Address와 Subnet - 1. bit & byte 드디어 여러분들이 가장 괴로워하는 시간이 돌아 왔습니다. 공포의 Subnetting! ㅎㅎㅎ 그런데 말입니다.... Network를 자유자재로 나누고 통합할 수 있다면 그 유명한 CCNA과정의 절반은 끝난겁니다. 왜냐! 나머지는 Router와 Switch를 Control하는 명령어인데 CCNA 수준에서는 50개가 채 넘지 않습니다. 허니 MAC Address, IP Address, Subnet Mask, 그리고 Subnetting과 SuperNettin만 할 줄 아시면 Cloud환경에서의 Network 이해와 구성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물론 Routing 조매 들어 갑니다. ㅎㅎ 우선 데이터 단위부터 공부해 봅니다. 1. bit와 byte 1.1. bit 1.1.1. 하나의 0 또는 1에 해당하는 D.. 2022. 3. 3. Docker 개요 - 3 아직도 Docker 개요 부분에서 설명할 것들이 많이 남아있네요! Docker Component와 묶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Dockerfile의 자세한 사용법은 뒤에서 다룰 예정이니 개념만 알고 넘어가세요. 1. Dockerfile 1.1. Image 만들기 1.1.1. Image를 만들기 위한 DSL(Domain Specific Language) 언어 사용 1.1.2. 서버등에 App설치 시 의존성 패키지등을 메모장에 작성하지 말고 Dockerfile로 관리 1.1.3. Dockerfile의 Image생성 과정을 살펴보고 수정 작업등을 통해서 Source와 함께 버전관리가능 2. Docker HUB 2.1. 수백 Mbyte의 Docker Image를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은 쉽지 않음. 2.. 2022. 3. 2. Docker Image Docker가 점점 흥미진진해 지네요! 저만.....? 오늘은 Docker의 핵심인 Imag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Docker Image 1.1. Container 실행에 필요한 파일 및 설정값을 포함하고 있는 것. 1.1.1ㅣ Immutable(불변) 1.1.2. 하나의 Image로 여러개의 Container 실행 1.1.3. Container 상태 변경 및 삭제 시에도 Image는 변하지 않고 존재함. 1.2. Container 실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 보유 : 1.2.1. 설치 및 Compile 불필요 ex1) ubuntu image : ubuntu 실행을 위한 모든 파일 ex2) mysql image : mysql 실행 파일 및 명령어, port 정보 등 1.3. Docker H.. 2022. 3. 1. Docker(Container) 기술 : namespace & cgroups Container 기술의 등장으로 찬밥(?)이 되어버린 Virtualization 기술! 그래도 Cloud의 핵심 기술인데! ㅎㅎㅎ 그럼 대체 어떤 면에서 뛰어나길래 이렇게 Docker는 사실상 업계 표준(de-facto)이 되면서 Virtualization기술을 대체하게 되었을까요? 어느 날 바로 하늘에서 뚝 떨어진 기술은 아닐텐데......! 1. Docker 1.1. LXC에서 사용하는 Linux Kernel Container 기술을 이용해 만든 Container Management Util 1.2. MSA, DevOps, Test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1.3. Linux Container 구현체의 de-facto 2. Container vs Hypervisor 2.1. Hypervisor와 .. 2022. 2. 28. Docker 개요 - 2 그럼 Container 기술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Docker에 대해서 계속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의 1.1. Container 기반의 OpenSource Virtualization Platform. 1.2. 다양한 프로그램 및 실행환경을 Container로 추상화 1.3. 동일한 Interface를 제공 ->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를 단순화 1.4. Google의 경우 매주 20억개의 Container 구동 (GCP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이름을 확인해보라) 2. Container 2.1. Image를 실행한 상태 2.2. 격리된 공간에서 Process가 동작하는 기술 2.3. 가상화 기술의 하나이지만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음. 2.4. 기존 방식(OS가상화 : Overhead.. 2022. 2. 27.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