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twork17

IP Address와 Subnet - 3. Subnetting 자!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1. IP Address 를 만드는 규칙 1.1. 이진수 32개를 이용한다. 1.2. 1개의 Octet은 8개의 2진수로 구분 - 4개의 Octet - 1.3. 각 Octet별로 갖을 수 있는 최소 10진수는 0, 최대 10진수는 255 이다. 1.4. 0~255 까지의 10진수를 사용함으로 하나의 Octet이 포함할 수 있는 수는 256개. 2. Subnet Mask를 만드는 규칙 2.1. IP Address 만드는 규칙과 동일하다. 2.2. 단 2진수 1로 시작하고 중간에 0이 나오면 끝까지 0이어야 한다. 0 다음에는 절대로 1일 올 수 없다. 2.3. PREFIX 2.3.1. Subnet Mask의 또 다른 표현 방식 2.3.2. 2진수 1의 갯수로 Subnet Mas.. 2022. 3. 5.
IP Address와 Subnet - 2. MAC Address vs IP Address 음 그럼 두번째로 주소를 의미하는 두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MAC Address : Media Access Controller Address IP Address : Internet Protocol Address 1. 공통점 1.1. 두 주소 모두 Network상에서 고유한 식별번호를 의미합니다. 2. 차이점 2.1. MAC Address는 물리적(Hardware)으로 할당된 즉 NIC에 고유의 식별자입니다.(불변 : 해킹시 제외) 2.2. IP Address는 ISP 업체등에서 임시적으로 할당한 즉 논리적인 식별자 입니다. (가변 : 변동 가능) 3. MAC Address 구조 3.1. 16진수 12자리로 구성됨. IEEE관리 3.2. 16진수는 4bit로 구성됨으로 총 48bit의 주소 체계임 3.3... 2022. 3. 4.
IP Address와 Subnet - 1. bit & byte 드디어 여러분들이 가장 괴로워하는 시간이 돌아 왔습니다. 공포의 Subnetting! ㅎㅎㅎ 그런데 말입니다.... Network를 자유자재로 나누고 통합할 수 있다면 그 유명한 CCNA과정의 절반은 끝난겁니다. 왜냐! 나머지는 Router와 Switch를 Control하는 명령어인데 CCNA 수준에서는 50개가 채 넘지 않습니다. 허니 MAC Address, IP Address, Subnet Mask, 그리고 Subnetting과 SuperNettin만 할 줄 아시면 Cloud환경에서의 Network 이해와 구성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물론 Routing 조매 들어 갑니다. ㅎㅎ 우선 데이터 단위부터 공부해 봅니다. 1. bit와 byte 1.1. bit 1.1.1. 하나의 0 또는 1에 해당하는 D.. 2022. 3. 3.
ping : Scan 방식에 따른 응답 ping util(명령어)은 Network상에서 Host간의 통신 상태의 점검을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오늘은 이 ping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Wiki 백과의 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한 호스트가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쓰이는 컴퓨터 네트워크 도구중 하나이다. 2. Ping의 역사 2.1. ping 유틸리티는 1983년 12월 마이크 무어스가 IP 네트워크 내의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로 개발. 2.2. IP 네트워크 진단 및 측정을 위해 ICMP 반향(echo) 패킷을 이용하는 데 대한 데이비드 밀스의 언급에 영향을 받았다. 2.3. 저자는 나중에 소나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본따 이름을 지었는데, 이는 이 용어가 소나의 반향 지점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2.4. R.. 2022.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