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curity8 SSH Key Generator & Connections 이제 원격접속은 SSH(Secure Shell)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SSH접속에 사용할 인증서를 직접 만들고 이를 업로드 하여 root 사용자 계정이 패스워드 없이 접속하도록 구성합다. 1. SSH Key 생성 1.1. Windows 10 이후부터는 Openssh가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1.2. 따라서 Windows Command 에서도 SSH Key 생성이 가능합니다. 1.3. -t : rsa, dsa 선택 1.4. -m : format 형식 지정 1.5. -f : Output File Name 1.6. -N : password 입력 2. Private Key 2.1. notepad를 이용, Private Key 확인 3. Public Key 3.1. Notepad를 이용, Public Key 확인.. 2022. 1. 27. Certificate Create 인증서는 크게 공인인증서와 사설인증서로 나뉘어 집니다. 제 삼자(인증기관)이 개입을 해서 인증서의 신뢰성을 담보합니다. 이런 제 삼자의 개입이 싫어서 탄생한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입니다. 구성원끼리 동의하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공인인증서의 경우 웹브라우저에 내장된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인증서의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이런 인증기관의 공개키가 없는 경우 사설인증서로 취급이 됩니다만 인증서 본래의 역할인 1. 전송 데이터 암호화 2. 종단간 신뢰성 확보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은 차후에 포스팅을 하고 일단은 사설인증서를 생성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과정은 1. 개인키 생성 2. 개인키를 이용한 인증요청서 생성 3. 개인키와 인증요청서를 사용해서 인증서를 생성 입니다. 1. 개.. 2022. 1. 27. Metasplotable3-Windows Install Metasploitable3가 W2k8 ISO파일 위치가 변경되어 설치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서 vagrant cloud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box image를 내려받아 설치하는 법을 포스팅합니다. 이 글의 작성일자는 2022년 1월 24일 입니다. 1. vagrant 설치 2. vagrant-vmware-utility_1.0.21_x86_64.msi 설치 3. vagrant plugin 설치 4. vagrant init 5. Vagrantfile 작성 6. vagrant up 7. vagrant destroy 순서로 작성합니다. 1. vagrant 설치 1.1. https://www.vagrantup.com/downloads 1.2. vagrant 64bit 2. vagrant-vmware.. 2022. 1. 24. Kali 2021.4 한글화 kali Linux는 분기별로 Release 하는 버젼과 주별로 Release 하는 버젼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분기별 최신버젼은 2021.4 주별 최신 버젼은 2021년 10월17일 현재 2021.W50 입니다. 뭐 큰 차이는 없으며 두 버젼 모두 한글 설치 시 글꼴이 깨지는 동일한 문제를 내재하고 있습니다. 그냥 영문으로 설치하시면 별 문제 없지만...... 그래도 세종대왕의 뜻을 길이 받들어 한글화 후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1. 리포지토리 문제가 자주 발생함으로 기본 리포지토리외에 추가 리포지토리를 설정하겠습니다. #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하실 경우 해당 명령어 앞에 반드시 sudo를 붙여주시기 바랍니다. 2. 아래와 같이 리포지토리를 추가합니다. 3. 한글 글꼴인 nanum 글꼴을 설치합니다... 2022. 1.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