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ystem29

Active Directory - 14. RODC(Read Only Domain Controller) 만들기 Child DC의 경우 아래의 세가지 요건을 충족해야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강제는 아닙니다만...... 1. 지역에 ADDS 관리자 존재 2. 물리적 보안(접근통제 등(을 담보할 수 있을때 3. 상위단에 부모 DC가 있을 때 입니다. 그러나 Read Only Domain Controller(이하 RODC)는 이런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1. 지역에 ADDS 관리자가 없어도 2. 물리적인 보안을 담보할 수 없어도 3. 상위단에 쓰기 가능한 DC만 존재하면 생성할 수 있습니다. 왜냐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 저장하지 않고 쓰기가능한 DC에서 읽어오기 때문입니다. 즉 분실하거나 망실해도 문제가 없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자! 그럼 이제부터 RODC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좋아라 하는 전체 .. 2022. 2. 18.
Active Directory - 13. 새로운 Domain Tree Root 만들기 Child Domain에 이어서 새로운 챕터의 시작이네요! DC 만들기의 마지막 옵션 중 RODC를 제외한 마지막 입니다. 1. 새 Forest 추가 2. 기존 Domain에 Domain Controller 만들기 3. 기존 Forest에 새 Domain 만들기 : Child Domain 4. 기존 Forest에 새 Domain 만들기 : 새로운 Domain Tree Root 만들기 이렇게 총 4개 였습니다. 이제 그 대단원의 마지막 입니다. 물론 아직 RODC가 남아 있습니다만...... 다음은 아무래도RODC(Read Only Domain Controller) 포스팅이 될 듯 합니다. 그룹 정책 (Group Policy)는 언제 하려나? Have a nice day! 2022. 2. 15.
Active Directory - 12. Metadata 정리 후 Child Domain 재설치 메타데이터 정리를 했으니 이제 다시 자식 도메인 설치를 해봐야죠! 당연히 이전과 동일한 이름으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정말 여러분이 Metadata 정리를 완벽히 했다면 동일한 이름의 Child Domain이 아무런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될것입니다. 1. 배포구성 짜잔! 정상적으로 설치됐다고 얼 빼시면 안됩니다. 상대방의 DNS를 보조DNS로 구성하는 작업 꼭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ave a nicd day! 2022. 2. 14.
Active Directory - 11. Site & Subnet Create Forest를 IP Subnet으로 분리한 것을 Site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ite 및 Subnet 을 생성해 배치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1. Site 만들기 2. Subnet 생성 후 배치하기 순서로 진행합니다. 1. Site 만들기 2. Subnet 생성 후 배치하기 다음은 어떤 포스팅 일까요? 아마도 새로운 도메인 트리루트 만들기가 아닐까 합니다. Have a nice day! 2022.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