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IP Address와 Subnet -5. Subnet의 문제1,2 음 Subnet 문제와 PKA 파일 올려 드립니다. 차분히 한 번 풀어 보세요! 1. 1개의 네트워크 2. 3개의 Network 100%를 향하여......~ 2022. 3. 12.
IP Address와 Subnet - 4. Subnet 원리 그럼 이제 Subnet을 외우지 말고 2진법에 의해서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이해하기 편한 방법으로 하세요! 뭐든 상관없습니다. 일단 Subnet을 잘하게 되면 원리는 차분히 공부하셔도 되셔요! 그럼 아! 이거구나 하시게 됩니다.! 1. 기본 네트워크 1.1. Default Network로 200.200.200.0/24 가 주어졌습니다/ 1.2. 일단 Prefix를 우리가 알고 있는 Subnet Mask로 변환합니다. 1.3.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255.255.255.0 입니다. 2. 2개의 네트워크로 분리 2.1. Default Network를 2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Network ID 한자리를 늘려야 합니다. 2.2. 그러기 위해서는 H.. 2022. 3. 10.
Docker - Data Management 음. 또 몇일 건너뛰고 Docker로 돌아오네요! 세상은 넓고 공부할 것은 많다! 그럼 Docker에서 Data관리를 위해 제공하는 방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Container 에서 사용하는 Data를 Host내에 저장하는 세가지 방법 1.1. Volumes 1.1.1. Host파일 시스템 내의 지정된 영역( /var/lib/docker/volumes)을 Docker가 관리 및 사용 1.1.2. Docker가 아닌 다른 Process는 해당 영역 접근 불가능 1.2. Bind Mounts 1.2.1. Host 파일 시스템 자체를 사용 1.2.2. 중요한 시스템 파이리나 디렉토리 접근 가능 1.2.3. Host와 Container가 설정 파일 공유 1.2.4. Host 에서 개발 후 Container로.. 2022. 3. 8.
Data 전송 방식 그냥 가볍게 보고 넘어가세요! 모르셔도 크게 상관없습니다. 단지 이론 시험에 조금씩 출제되는 부분입니다. Network에서 Data를 전송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1. Data 전송 방식 1.1. 단방향 통신(Simplex) 1.1.1. 오로지 A->B로의 통신만 가능 1.2. 반이중통신(Half Duplex) 1.2.1. 양방향 통신 가능 1.2.2. 단, 동시 사용은 불가 : 무전기 1.3. 전이중퉁신 : Full Duplex 1.3.1. 양방향 통신 가능 1.3.2. 동시 사용 가능 : 전화 2. Network Topology 2.1. 계층형(Tree) 2.1.1. 장점 2.1.1.1. 네트워크 관리 용이 2.1.1.2. 새로운 장치 추가 쉬움 2.1.2. 단점 2.1.2.1. 상.. 2022.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