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6. Virtual Network Service -1 : Azue Bastion, NAT Gateway...... Azure의 Virtual Network Service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zure Bastion 2. NAT Gateway 3. Virtual Network Peering 4. Route Table 5. Azure Load Balancer 6. Azure Application Gateway 7. Azure Virtual Network Gateway 순서로 진행합니다. 역시나 포스팅하다 내용이 많으면 1,2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1. Azure Bastion 1.1. SSH, RDP와 같이 VM(Virtual Machine)에 접속하는 방법 중 하나 1.2. 공용 IP 주소를 할당해 접속 1.3. Virtual Network의 모든 VM에 대하여 안전한 RDP, SSH 연결을 제공 .. 2022. 2. 1. 5. Virtual Network -2 : IP Address, 보안설정 이전에 이어서 계속 Virtual Network를 포스팅 합니다. 번호는 3번이 맞지요? 3. 사용 가능한 IP범위 3.1. Virtual Network에서 사용가능한 IP범위(RFC1918) 3.1.1. Private IP Addres와 동일 3.1.2. 그 외 IP대역도 사용가능하지만 보안 사고시 IP확인등에 문제점등이 존재 3.2. Virtual Network에서 사용 불가능한 IP 범위 3.2.1. 224.0.0.0/4 (Multicast) 3.2.2. 255.255.255.255/32 (Broadcast) 3.2.3. 127.0.0.1 (Loopback=LocalHost) 3.2.4. 169.254.0.0/16(Link-Local) 3.2.5. 168.63.129.16/32 (내부DNS주소) 4.. 2022. 1. 31. 5. Virtual Network -1 : Virtual Network, Subnet 통상적으로 개요 후에는 VM(Virtual Machine)을 많이들 설명하지만 저는 VM의 기반이 되는 Virtual Network를 먼저 설명하는 걸 즐겨합니다. 각자의 특징이 있는 것이니 인정해 주셔요! 1. Azure Virtual Network의 특징 1.1. Azure Virtual Network 종류 1.2. 가상화된 네트워크 1.3. Azure Private Network의 기본 구성 요소 1.4. Azure 리소스에 Network 기능 제공, Internet 및 On-Premise와의 통신 지원 1.5. 확장성, 가용성 및 격리와 같은 Azure Intra의 이점을 추가로 활용 가능 1.6. Virtual Network의 주요 기능 1.6.1. 인터넷 통신 1.6.1.1. 기본적으로 Vir.. 2022. 1. 31. Step 1 : SSH KEY Pair Create & Deploy Terraform을 이용한 EC2 Infrasturcture 포스팅입니다. 총 20단계로 구성을 해서 진행합니다. 오늘은 그 첫단계 SSH KEY 1. ssh key pair 생성 1.1. ssh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한 후 공개키는 접속 대상 서버에 개인키는 접속자가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1..2. 따라서 첫번째 작업은 이 key pair를 생성해야 합니다. 1.3. 다행이 Windows 10 이후 부터는 openssh가 내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Windows 환경에서도 puttygen 없이도 key pair 생성이 가능합니다. 1.4. # ssh-keygen 으로 단순하게도 생성이 가능하지만 password 없이 원하는 이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 ssh-keygen -m PEM -f .ssh.. 2022. 1. 3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