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8 2. Project Create GCP에 리소스(자원 : 제품 및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roject를 먼저 생성하셔야 합니다. Project 에 권한을 할당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자사 직원들에게 Project에 초대,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니 진정한 협업툴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번호 : Google에서 관리, 불변, 수정불가, 중복 불가 프로젝트 ID : 최초 생성시 1번만 변경가능, 불변, 수정불가, 중복 불가 프로젝트 이름 : 변경가능, 중복가능, 수정가능 1. 계정 생성 시 작성된 기본 프로젝트 변경사항 확인 1.1. 프로젝트 정보카드 -> 프로젝트 설정 -> 프로젝트 이름 변경 후 저장 -> 변경 사항 프로젝트 카드확인 1.2. 프로젝트 이름은 고유하지 .. 2022. 1. 27. 1. 계정 생성 드디어 GCP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계정 생성 작업입니다. 이건 그냥 시작이다란 느낌으로 작성하는 부분이니 그냥 보고 넘기시기 바랍니다. 1. 사이트 접속 1.1. https://cloud.google.com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Google Cloud 데이터 관리,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AI와 머신러닝 등 Google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비즈니스 당면 과제를 해결하세요. cloud.google.com 1.2. 중앙 또는 우측 상단의 "무료로 시작하기" 클릭 2. 계정 만들기 - 1 2.1. 계정 만들기 -> 계정 정보 입력 -> 전화번호 입력 3. 계정 만들기 - 2 3.1. 전화 인증 4. 계정 만들기 - 3 4.1. 개인정보 처리 동의 -> 계정 정보.. 2022. 1. 27. SSH Key Generator & Connections 이제 원격접속은 SSH(Secure Shell)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SSH접속에 사용할 인증서를 직접 만들고 이를 업로드 하여 root 사용자 계정이 패스워드 없이 접속하도록 구성합다. 1. SSH Key 생성 1.1. Windows 10 이후부터는 Openssh가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1.2. 따라서 Windows Command 에서도 SSH Key 생성이 가능합니다. 1.3. -t : rsa, dsa 선택 1.4. -m : format 형식 지정 1.5. -f : Output File Name 1.6. -N : password 입력 2. Private Key 2.1. notepad를 이용, Private Key 확인 3. Public Key 3.1. Notepad를 이용, Public Key 확인.. 2022. 1. 27. Certificate Create 인증서는 크게 공인인증서와 사설인증서로 나뉘어 집니다. 제 삼자(인증기관)이 개입을 해서 인증서의 신뢰성을 담보합니다. 이런 제 삼자의 개입이 싫어서 탄생한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입니다. 구성원끼리 동의하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공인인증서의 경우 웹브라우저에 내장된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인증서의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이런 인증기관의 공개키가 없는 경우 사설인증서로 취급이 됩니다만 인증서 본래의 역할인 1. 전송 데이터 암호화 2. 종단간 신뢰성 확보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은 차후에 포스팅을 하고 일단은 사설인증서를 생성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과정은 1. 개인키 생성 2. 개인키를 이용한 인증요청서 생성 3. 개인키와 인증요청서를 사용해서 인증서를 생성 입니다. 1. 개.. 2022. 1. 2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5 다음 반응형